2013년 9월 4일 수요일

워드프레스 프리미엄 디자인 무료 테마 20선

드프레스 무료 테마 모음입니다. 개인 블로그, 기업 사이트,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무료 워드프레스 테마를 구경해보세요.

Extranews

Meeta

Fizz

Time

Clippy

Elegant Grey

Exposure

Cleanistic

Travelpress

BoldR Lite

Pytheas

Tetris

Eden Fresh

Folder

Bresponzive

Upstream

Fundler

Fanwood

Sitefine

Paper – twenty twelve child

게임처럼 호텔을 예약할 수 있는 신개념 '여행 포털'

http://bizion.co.kr/bbs/board.php?bo_table=idea&wr_id=3511

게임처럼 호텔을 예약할 수 있는 신개념 '여행 포털'
필자가 최근 몇 년 간 열정적으로 입소문을 내는 미국 회사가 있다. 미국에서 체류 예정인 사람을 만나면 반드시 이용하라고 권할 정도다. 이 회사의 이름은 프라이스라인(Priceline). 인터넷 상에서 호텔 예약 서비스를 제공한다. 큰 나라인 미국에서 가끔씩 호텔을 이용해야 했던 필자는 항상 프라이스라인을 통해 예약했다. (미리 밝히지만 순전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었다.)

최근에도 필자는 미국에 1년 연수를 나가는 지인을 만난 자리에서 입에 침이 튀도록 프라이스라인을 추천했다. 필자는 물론이고 필자가 미국에서 알았던 지인들의 경험담까지 전했다.
 
그런데 필자는 집에 돌아와서 좀 억울했다. 프라이스라인이 필자에게 특별한 대접을 한 적도 없고, 필자가 누구인지도 모를텐데 왜 이렇게 이 회사를 선전하게 된 것일까? 프라이스라인의 서비스에 만족한 게 첫째 이유겠지만, 또 다른 이유도 있을 것 같았다.
 
아, 그렇다! 필자는 갑작스러운 깨달음에 무릎을 쳤다. 프라이스라인의 호텔 예약 서비스는 마치 '게임'과 같다는 생각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게임에서 승리한 사람들은 자신의 무용담을 늘어놓기를 좋아한다. 좀 더 스마트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필자 역시 마찬가지였던 것이다. (물론 필자는 게임의 승자라고 할 수는 없다. 필자보다 프라이스라인을 훨씬 효과적으로 쓰는 사람들은 매우 많다.)
 

프라이스라인의 호텔 예약 서비스 중 필자가 이용한 것은 '비딩(bidding)' 방식이다. 필자가 2008년에 미국 워싱턴에서 호텔을 예약한 경험을 설명하면 이렇다. 1단계로 체크인, 체크아웃 날짜를 정했다. 2단계로 숙박하고 싶은 지역을 정했다. 여행하기 편하도록 백악관과 국회의사당 인근 지역을 골랐다. 그런 다음 호텔 등급을 정했다. 당시 필자는 별 4개 호텔을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원하는 가격을 기입했다. 필자가 입력한 비딩 가격은 1박에 45 달러 수준이었다. 아마 이 가격에 워싱턴의 중심지역에서 별 4개 호텔에 숙박할 수 있다고는 쉽게 믿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가능했다. 몇 초가 지나자 컴퓨터 화면에는 필자가 머물 호텔 이름과 주소가 떴다.

물론 프라이스라인의 비딩 서비스에도 단점은 있다. 호텔스닷컴 등 다른 호텔 예약 사이트와 달리 자신이 묵을 호텔 이름을 미리 알 수가 없다. 고객이 제시한 비딩 조건을 받아들이는 호텔에 반드시 돈을 내고 숙박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단점은 저렴한 숙박비에 비하면 중요하지 않았다. 최소한 돈이 궁했던 필자에게는 그랬다.
 
이런 프라이스라인의 비딩 방식은 라스베가스에서 필자가 경험했던 슬롯머신 게임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슬롯머신은 핸들을 돌려 숫자가 맞으면 판돈보다 훨씬 큰 돈을 주는 일종의 도박 게임이다. 운 좋게 큰 돈이 걸리면 대박을 맞은 느낌이다. 프라이스라인에서도 필자가 터무니 없이 낮은 가격에 제시한 비딩을 받아들인 호텔이 있으면 마치 큰 돈을 번 기분이 들었다.
 
필자가 프라이스라인이 게임처럼 느껴진 이유는 한 가지 더 있다. 비딩의 성적표가 금방 나온다는 점이다. 애니팡 게임이 끝난 뒤 금새 성적을 확인할 수 있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필자의 경우, 프라이스라인 비딩의 성적은 항상 호텔스닷컴에서 확인했다. 호텔스닷컴에서 제시하는 숙박비의 50% 이하에서 비딩에 성공하면 높은 성적을 얻은 기분이었다. 반면 80% 이상이면 성적이 별로라는 느낌이었다.

다른 사람과 비딩 성적을 비교할 수 있다는 점도 게임의 요소다. 미국에서 필자의 지인들은 워싱턴, 뉴욕, 시카고 등 주요 도시에서 얼마의 가격으로 비딩에 성공했는지 정보를 교환했다. 남들보다 낮은 가격에 더 높은 등급의 호텔에서 숙박했을 경우에는 기분이 좋았다. 반대 경우에는 솔직히 씁쓸했다. 이는 필자의 젊은 시절 큰 인기를 끌었던 스타크래프트 게임에서 이기고 졌을 때의 기분과 큰 차이가 없었다.
 
조나 버거 미국 와튼스쿨 교수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입소문을 내고 싶다면 게임의 메커니즘을 이용하라"고 조언했다. 필자에게는 프라이스라인이 정확히 그런 경우였다.
 

글 : 김인수 기자
- See more at: http://bizion.co.kr/bbs/board.php?bo_table=idea&wr_id=3511#sthash.vmsFbmz5.dpuf

2013년 9월 2일 월요일

텍스트를 이미지로, 이미지를 텍스트로 바꾸는 법

텍스트를 이미지로, 이미지를 텍스트로 바꾸는 법

Lincoln Spector | PCWorld

이 문단에서 아무 단어나 더블클릭을 해보자. 단어를 선택할 수 있고, 이것을 복사해서 워드 프로세서나 이메일 프로그램에 붙여 넣을 수 있다. 하지만 상단 이미지 안의 텍스트는 더블클릭 하더라도 복사해서 붙여 넣을 수 없다. 디지털 세상에는 텍스트와 텍스트처럼 보이는 이미지의 차이가 매우 크다. 다행히도 텍스트를 이미지로, 이미지를 텍스트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텍스트를 이미지로 바꾸기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굉장히 간단하다. 이미지로 만들고 싶은 텍스트를 선택해서 클립보드로 복사한다(Ctrl-c). 그 다음 윈도우에 무료로 제공되는 페인트 프로그램을 열어서 Ctrl-v를 눌러 텍스트를 이미지로 붙여 넣고, 파일을 저장한다.

하지만 이 방법이 모든 워드 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필자의 경험상 워드(Word)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면, 윈도우의 스니핑 툴(Snipping Tool)을 이용해서 이런 작업을 할 수 있다.

키보드의 프린트 스크린(Pint Screen) 키를 이용해서 화면을 캡쳐하고, 페인트(혹은 다른 이미지 편집 툴)을 열어서 이미지를 붙여 넣고, 원하는 부분만 크롭할 수도 있다.

이미지를 텍스트로 바꾸기
이미지안의 텍스트를 텍스트 형태로 인식하게 하려면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하지만 스캐너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원노트(OneNote)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미 OCR 소프트웨어를 보유하고 있는 것과 같다. 이미지를 복사해서 원노트에 붙여 넣는다. 그 다음 원노트에서 이미지를 오른쪽 클릭하고, 사진에서 텍스트 복사(Copy Text from Picture)를 선택한다. 그럼 텍스트가 텍스트 형태로 클립보드에 복사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곳에 붙여 넣으면 된다.

원노트가 없다면, 프리 OCR(Free OCR)  같은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고, 자신이 실사용자라는 것을 증명하는 CAPTCHA를 입력하고, 파일 보내기를 클릭한다. 텍스트가 프레임 내에 표시되고, 이것을 복사해서 어디에나 붙여 넣을 수 있다. editor@itworld.co.kr